기후변화 시대는 실로 인류의 삶의 패턴을 놀랍도록 바꿔놓았다. 이러한 변화는 식량과 에너지의 위기뿐아니라 우리 인간의 가치관 및 문화에까지 예기치 않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문화적인 면에서의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크다. 방글라데시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해안지역 주민이 내륙 도시로 이주하면 해안지역 고유의 문화가 사라지게 된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
지금 지구촌은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물론 그 배후에는 기후변화라는 난적이 도사리고 있다. 미국의 과학자 찰스 킬링이 1958년 하와이에서 최초로 이산화탄소 농도변화를 측정한 뒤 이산화탄소와 기온의 변화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낸 이후 과거 100년동안(1906~2005년) 세계의 기온이 0.74도 상승한 반면 제주도를 포함한 한국은 1.5도 상승했다는 점은 우리가 이산화탄소와 기온변화에 왜 민감해야 되는지 알 수 있다.
기후변화 시대는 실로 인류의 삶의 패턴을 놀랍도록 바꿔놓았다. 이러한 변화는 식량과 에너지의 위기뿐아니라 우리 인간의 가치관 및 문화에까지 예기치 않는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문화적인 면에서의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은 크다. 방글라데시에서 해수면 상승으로 해안지역 주민이 내륙 도시로 이주하면 해안지역 고유의 문화가 사라지게 된 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지금 지구촌은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물론 그 배후에는 기후변화라는 난적이 도사리고 있다. 미국의 과학자 찰스 킬링이 1958년 하와이에서 최초로 이산화탄소 농도변화를 측정한 뒤 이산화탄소와 기온의 변화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혀낸 이후 과거 100년동안(1906~2005년) 세계의 기온이 0.74도 상승한 반면 제주도를 포함한 한국은 1.5도 상승했다는 점은 우리가 이산화탄소와 기온변화에 왜 민감해야 되는지 알 수 있다. 전세계는 그린을 외치고 우리나라도 저탄소 녹색성장을 외치고 있다. 그 대안으로 저탄소 사회를 제시하며 청정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나서고 있다. 또한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바이오발전, 소수력, 지열 발전에 나서고 있는 국가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녹색성장을 이야기하기에 문화전략이 지향해야 할 정책적 차별성이 그만큼 희석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수많은 난민이 발생해 고향을 등지면 문화적 손실도 그만큼 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문화전략이 지향하는 지점은 환경정책, 산업정책 등 다른 정책 분야와 다소간의 차별성을 갖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문화정책이 의도하는 포지셔닝은 국민들이 자연스럽게 그리고 자발적으로 일상적인 삶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다.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흐름에 대응하여 국민 개개인의 삶의 자세가 근본적으로 변화되지 않고서는, 단편적으로 추진하는 녹색성장 전략이나 그 밖의 정책적 시도들이 한낱 구두선에 그치거나 지엽적인 변화에 그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방향에서 저탄소 생활문화 형성을 목표로 국민생활과 밀접한 문화·예술․체육․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패러다임을 녹색성장에 부합하는 환경친화적 방향으로의 전환 모색 및 전략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더불어 경제·에너지·도시·환경·교육정책 등 다양한 분야와의 적극적인 연계·협력을 통해 ‘문화를 통한 녹색성장’을 실현해 가는 것을 정책 비전으로 설정하여 소통과 상생의 길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 이제 기후변화의 문제는 전인류적 중차대한 사안을 넘어 개인적인 변화와 능동적인 대처를통한 실마리를 풀어나가야하는 현실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정책들은 단위 정책 하나로서 의미를 갖기보다는 다른 경제적 그리고 사회문화적 활동들과 결합될 때 비로소 파급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향후 정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의 전략적 협력 등 기후변화에 대한 문화전략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다양한 파트너십을 강구함은 물론 이러한 녹색파트너십은 기존의 산업정책이나 규제정책만으로는 실현해 내기 힘든 녹색성장의 빈자리를 메워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것만이 지구적 재앙인 기후변화의 위기를 현명하게 극복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전세계는 그린을 외치고 우리나라도 저탄소 녹색성장을 외치고 있다. 그 대안으로 저탄소 사회를 제시하며 청정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나서고 있다. 또한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바이오발전, 소수력, 지열 발전에 나서고 있는 국가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녹색성장을 이야기하기에 문화전략이 지향해야 할 정책적 차별성이 그만큼 희석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수많은 난민이 발생해 고향을 등지면 문화적 손실도 그만큼 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문화전략이 지향하는 지점은 환경정책, 산업정책 등 다른 정책 분야와 다소간의 차별성을 갖고 있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문화정책이 의도하는 포지셔닝은 국민들이 자연스럽게 그리고 자발적으로 일상적인 삶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다.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흐름에 대응하여 국민 개개인의 삶의 자세가 근본적으로 변화되지 않고서는, 단편적으로 추진하는 녹색성장 전략이나 그 밖의 정책적 시도들이 한낱 구두선에 그치거나 지엽적인 변화에 그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방향에서 저탄소 생활문화 형성을 목표로 국민생활과 밀접한 문화·예술․체육․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패러다임을 녹색성장에 부합하는 환경친화적 방향으로의 전환 모색 및 전략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더불어 경제·에너지·도시·환경·교육정책 등 다양한 분야와의 적극적인 연계·협력을 통해 ‘문화를 통한 녹색성장’을 실현해 가는 것을 정책 비전으로 설정하여 소통과 상생의 길로 나아가야 할 때이다.
이제 기후변화의 문제는 전인류적 중차대한 사안을 넘어 개인적인 변화와 능동적인 대처를통한 실마리를 풀어나가야하는 현실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정책들은 단위 정책 하나로서 의미를 갖기보다는 다른 경제적 그리고 사회문화적 활동들과 결합될 때 비로소 파급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향후 정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의 전략적 협력 등 기후변화에 대한 문화전략의 효율적 실행을 위한 다양한 파트너십을 강구함은 물론 이러한 녹색파트너십은 기존의 산업정책이나 규제정책만으로는 실현해 내기 힘든 녹색성장의 빈자리를 메워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것만이 지구적 재앙인 기후변화의 위기를 현명하게 극복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새화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기기사
기획·특집 많이 본 기사
|